[육아 자녀교육TIP] 초등학교 입학전 선행학습 필요할까?
우리 아이들 초등학교 입학이 다가와 지면서 선행학습에 대한
부모님들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어디까지 시켜야 하는것인지?
어떤것을 시켜야 하는지 궁금하기만 합니다.
우리애가 다른아이들보다 뒤쳐지지는 않을까?
ㅎㅎㅎ
예전에 직장 동료였던 어떤 어머니의 말씀이 생각나네요.
여자아이였는데 한글을 두돌인지 세돌인지 지나서 뗏다고 하더라구요.
헐!!! 그래서 자기는 진짜 자기 딸이 천재인줄 알았다더군요.
그래서요? 하고 물으니 초등학교 들어가니까
다른아이하고 똑같아요!! 하면서 웃더라구요.
요즘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웬만한 한글은 다 떼고 보내죠?
영어니 한자니 아이들 참 피곤합니다.
가끔 무지한 엄마아빠 보다도 잘아는 한자도 있더라구요 ㅎㅎ
우리 아이들 초등학교 입학전 선행학습이 과연 얼마만큼 도움이 될까요?
먼저 수학교육입니다.
아이들은 5세이전에는 수를 정확하게 개념화 시키면 안된다는군요.
억지로 수를 가르치면 오히려 역효과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4살부터 수학을 시작한 아이나 7살에 수학을 시작한 아이와는
별차이가 없다고 하네요.
2~4세 때 생활속에서 수와 관련된 경험을 하는것이 훨씬 수학능력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또한 선행학습을 해버리면 학교수업시간에 자기가 아는 문제다보니
집중력이 떨어지게 되버릴 수 있다고 합니다.
집중력이 떨어지다보면 아무래도 학업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영어교육입니다.
요즘은 영어를 참 일찍 시작하죠?
어린이집 3세 4세정도만 되도 영어수업이 들어가더군요. ㅎㅎㅎ
영어는 조기교육이 아나라 적기교육이 필요하다네요.
5살짜리가 2년에 걸친 영어는 초등학교 1학년 아이는 6개월이면 다 터득을 한답니다.
영어학원에서도 5살에 배운아이와 1학년때 배운아이가 몇년후면 결국 같은 레벨의 반에서
만나는 경우가 허다하답니다.
마지막으로 한글교육입니다.
아이들이 한글을 빨리 떼니 참 부모가 편하기는 하더군요.
책을 읽어주지 않아도 스스로 읽을 수 있고,
책을 읽음을 통해서 많은 지식을 습득하게 됩니다.
뇌발달 상 언어는 만6세 이후에 배우는것이 좋다고 하네요.
그런데 우리 부모들은 만6세면 한글떼고, 영어도 한창 진행중이여야만 안심을 하죠?
너무 어릴때의 한글교육은 비효율적이랍니다.
초등학교에서도 이미 아이들이 한글을 떼고 들어왔다는 전제하에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는군요. 참 문제긴 하네요
서울지역 초등학교는 내년부터 신입생들에게 한글과 수학 기초를 처음부터 가르친다고 합니다.
불필요한 선행학습을 막겠다는 취지로 이같은 차원에서 초등 1~2학년의 숙제도 없앤다는 방침이라고 하는데 전국적으로 시행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아이때는 무조건 뛰어노는게 제일인데.. ㅠ.ㅠ
우리 아들녀석도 이번달 들어 조금씩 신경쓰고 있네요.
한글은 얼추 떼긴 했는데.. 부모맘은 다 같잖아요? ㅎㅎㅎ
받아쓰기 연습, 더하기 빼기 등 연습하기 슬슬 시작해야하나봐요.
1~2학년때는 별차이 없던거 같던데.
3학년되니 아이들이 본격적으로 학업량이 많아지니 차이가 나긴 하더군요.
1학년때부터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주기보다는
학업에 대해 친숙해 질 수 있도록 지도해 주는 현명한 부모가 되어야 겠습니다.
'육아 자녀교육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물이 많은 아이는 감성적인가? (0) | 2016.12.07 |
---|---|
베이블레이드에 푹빠진 아들녀석... (0) | 2016.12.05 |
좋은아빠되기 스마트폰 중독에서 아이를 구하자 (2) | 2016.11.29 |
독서습관들이기 재미있게 책읽기 (0) | 2016.11.21 |
집중력이 떨어지는 아이 알레르기비염이 원인? (0) | 2016.11.16 |